언어재활 공부

유창성장애 파트 2 - 유창성장애

짱또리더 2022. 11. 6. 20:07
728x90
반응형

3. 정상적 비유창 vs 병리적 비유창

정의

유형 기호 정의
정상적인 비유창성(ND) 주저
(H)
발화 중간이나 발화 간에 나타나는 1~3초 정도의 침묵으로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간투사(I) 의미전달내용과 관계없는 낱말이나 구를 말하는 것으로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미완성 또는/그리고 수정(UR) 발화나 낱말을 끝냊지 않은 경우, 그리고/또는 이미 산출한 말의 발음, 낱말, 통사구조 등을 바꾸어 다시 말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복1(R1) 다음절 낱말이나 구, 어절 등을 1~2회 반복하되,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병리적인 비유창성(AD) 주저-비정상적(Ha) 주저함이 3초 이상 지속되거나 시각적 긴장과 같은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간투사-비정상적(la) 간투사를 3회 이상 반복하거나 간투사를 말할 때 시각적 긴장과 같은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미완성 또는/그리고 수정-비정상적(URa) 미완성 그리고/또는 수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거나, 시각적 긴장과 같은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반복1-비정상적(R1a) 다음절 낱말, , 어절 등이 3회 이상 반복되거나 긴장등을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반복2(R2) 낱말보다 작은 단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반복을 포함한다. 음소, 음절부분, 음절, 낱말부분, 일음절 낱말의 반복이 이에 속한다
비운율적 발성(DP) 연장(소리와 공기의 흐름은 유지되나 조음기관의 운동이 멈추는 것), 막힘(공기 또는 목소리의 흐름 및 조음기관의 움직임이 멈추는 것으로 특히 후두의 부적절한 근육 움직임이 동반), 깨진 낱말(낱말 내에서 나타나는 멈춤)을 포함한다.

 

병리적 비유창VS정상적 비유창 비교

행동 병리적인 비유창성 정상적인 비유창성
음절반복 낱말 당 빈도 3회 이상 2회 이하
2. 100낱말 당 빈도 3회 이상 2회 이하
3. 속도 정상보다 빠름 정상 속도
4. 규칙성 불규칙적 규칙적
5. 중설모음 종종 나타남 없거나 드묾
6.공기흐름 종종 방해 받음 거의 방해받지 않음
7. 긴장 종종 드러남 없음
연장 8.지속시간 1초 이상 1초 이하
9. 빈도 100낱말 당 1회 이상 100낱말 당 1회 이하
10. 규칙성 불규칙적이거나 방해됨 자연스러움
11. 긴장 나타나면 중요함 없음
12. 유성음일 때 음도가 높아질 수 있음 음도 상승 없음
13. 무성음일 때 공기 흐름이 막힘 공기 흐름이 유지됨
14. 끝맺음 갑작스러움 점진적임
멈춤 15. 한 낱말일 때 나타날 수 있음 없음
16. 말을 시작하기 전에 비정상적으로 긺 보이지 않음
17. 비유창성이 나타난 후 나타날 수 있음 없음
발성 18. 억양 제한되고 단조로움 정상적
19. 발성제동 나타날 수 있음 없음
20. Vocal Fry 나타날 수 있음 보통 없음
조음자세 21. 적절성 부적절할 수 있음 적절함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22. 형태 깨진 낱말이 많음 정상적 비유창성
자각의 증거 23. 음소적 일관성 나타날 수 있음 없음
24. 좌절 나타날 수 있음 없음
25. 연장
(Postponements)
나타날 수 있음 없음
26. 눈맞춤 흔들림 정상적임

 

*학자별 비유창의 분류

연구자 비유창 형태
Ryan 병리적 비유창성 정상적 비유창성
단어 전체 반복
단어 부분 반복
연장
투쟁
삽입
수정
미완성 구
구 반복
Yairi, Ambrose & Niermann 진성말더듬(진성비유창성) 기타(가성)비유창성
단어 부분 반복
일음절 단어 반복
비운율적 발성
긴장된 쉼
다음절 단어 반복
구 반복
삽입
수정-미완성 구
Conture 단어 내 비유창성 단어 간 비유창성
단음절 단어 전체 반복
/음절 반복
들을 수 있는 연장
들을 수 없는 연장
구 반복
다음절 단어 전체 반복
삽입
수정
Meyers 말더듬 형태의 비유창성 정상 형태의 비유창성
단어 부분 반복
연장
깨진 단어
긴장된 쉼
단어 전체 반복
구 반복
수정
미완성 구
삽입
Campbell & Hill 덜 전형적인 비유창성 더 전형적인 비유창성
단음절 단어 반복(3회 이상 반복)
단어 부분, 음절 반복(3회 이상 반복)
음 반복
연장
폐쇄
머뭇거림
삽입
수정
구 반복
단음절 단어 반복(2회 이하 반복:긴장 없음)
단어 부분, 음절 반복(2회 이하 반복:긴장 없음)

 

4. 말더듬 발생률 및 출현률

발생률 : 살아오면서 말을 더듬은 경험이 있었던 사람들의 비율, 6개월 이상 더듬은 경우 5%

출현율 : 특정 시기에 특정 연령대, 대상 등에서 말을 더듬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 5세 유치원 아이들의 2,4%, 학령기 어린이의 1%에 해당

*발생률과 출현율의 차이는 자연회복 때문

 

*자연회복

-치료 없이도 말더듬이 회복되는 것

-자연되복 예측변수 : 가족력, , 발생연령, 말더듬의 빈도와 심한 정도, 발생 후 지속기간, 말더듬 시간 및 비율, 음운 능력

 

*성비에 따른 말더듬

-말더듬 남녀의 비율(4:1) :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 증가

*말더듬의 예측성

-예기 : 어떤 단어에서 더듬을지 예측하는 능력

-일관성 : 일관된 단어에서 더듬는 것

-적응 : 같은 단어를 여러 번 읽거나 말할 때 점차 말더듬이 줄어드는 것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