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유창성장애 파트 7 - 유창성장애의 평가

짱또리더 2022. 11. 14. 02:23
728x90
반응형

<평가 및 진단>

전반적인 말더듬의 평가 및 진단

-면담(인터뷰) 기본 원칙

1. 성인

-일상생활에서 말더듬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핸디캡이 있는지 확인

-부수행동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확인(내적/외적 모두 확인 필요)

 

2. 아동

-부모에게 아동의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아동이 말더듬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물어보아야 함

-부모-아동 상호작용/언어 스트레스 상황 제시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평가 안내

 

-대화 상황에서 말더듬 행동 양상 및 부수 행동 파악

1. 빈도수의 측정 : 말을 더듬은 단어는 한 단어로 계산(반복 횟수)

=이원적 판단 : 말을 더듬었느냐, 안 더듬었느냐에 의해서만 평가(Yes/No)

=말더듬 비율 : 1분당 더듬은 낱말 수

말한 시간 : 말을 더듬은 단어 수 = 60:X

- (말더듬 단어 수X60)/말한 시간

=총비유창지수

- 음절 총비유창지수(%SS) = 비유창 음절 수/전체 음절 수(말더듬 행동 수)X100

- 단어 총비유창지수(%SW) = 비유창 단어 수/전체 단어X100

- 핵심행동별 비유창지수를 구할 수 있음

=이원적 판단은 측정이 용이, 객관성과 신뢰도의 장점이 있지만 말더듬을 정확히 기술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보완점으로 말더듬의 형태 분석을 할 수 있음

 

2. 형태분석

-말더듬을 분류하고 나타난 가장 심한 형태로 체크 심한 정도 결정, 예후적인 가치

=단어전체 반복, 단어부분 반복, 연장, 막힘, 부수행동(투쟁)

3. 말더듬의 평균 지속 시간 측정

-말더듬의 가장 긴 막힘을 보인 3개의 시간을 평균함

-막힘 시간이 길수록 심한 경우

-빈도가 같아도 폐쇄시간이 단축되면 진전을 보았다고 할 수 있음

 

4. 구어비율 측정 : 정상화자 비교, 치료 전후 비교

-환자의 분당 말한 단어 수 측정(WS/M)

-환자의 분당 읽은 단어 수 측정(WR/M)

 

5. 부수행동(이차성 말더듬)

-외부적 부수행동 : 눈깜빡거림, 머리움직임, 발을 구르거나 손을 치는 행동 등

-생리적인 부수행동 : 심장맥박변화, EGG 변화, 동공팽창 등

-내적인 부수행동 : 좌절감, 근육이 당겨지는 느낌, 폐쇄 전후의 정서적 공포, 불안 등

 

6. 숨겨진 말더듬 : 회피행동

-단어공포 : 특정 음소, 단어 조음 위치, 방법

-상황공포 : 특정 사람, 의사소통 상황(전화, 읽기, 독백 등)

=회피행동 : 동의어로 바꾸어 말하기, 돌려 말하기, 시작계교, 순서바꾸기, 사람.상황 회피, 함묵증

 

7. 자기평가

-말더듬에 대한 자신을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말더듬 정도를 표시

경도-중등도-중도

-효과 : 말더듬에 대한 잘못된 인식 파악, 시범치료를 통해 진전을 보일 수 있음, 자신의 말에 책임감을 갖도록 함 등

 

8. 구어 자연성 : 말더듬는 사람의 구어가 자연스럽게 들리는지에 대한 평가

9. 구어 속도 : 말속도(분당 말한 단어나 음절로 측정)측정

 

<말더듬 공식 및 비공식 평가>

구분 청소년&성인 아동 성인&아동
핵심행동
한국 아동용 말더듬검사(KOCS)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 II)
-말더듬의 심한 정도 측정검사(SSI-IV)
-말더듬 인터뷰
감정, 의사소통 태도 -행동통제소(LCB)
-주관적 말더듬 중증도 선별검사(SSS)
-Erickson 의사소통 태도평가(S-24)
-말더듬 성인을 위한 자기 효능감 척도(SESAS)
-말더듬 청소년을 위한 자기 효능감 척도(SEA)
-말더듬 자기 평정 프로파일(WASSP)
-말더듬 예측검사(SPI)
-A-19검사
-cooper의 만성화 예측 체크리스트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태도검사(kiddyCAT)
-학령 전 아동과 부모에 대한 말더듬의 영향(ISSP)
-학생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교사평가(TASCC)
-성인/아동 행동검사(BAB)
-전반적 말더듬 경험평가(QASES)

 

1.말더듬의 핵심행동 공식 평가 도구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 )

=필수과제, 선택과제, 의사소통평가 과제지 총 3개의 과제로 구성. 이 과제들을 통해 검사자가 부수행동평가를 할 수 있음

=연령대별로(취학 전, 초등학생, 중학생 이상) 검사과제가 제시되어 있음

=다양한 평가과제를 제시하여 개인 내 변이성을 파악

=의사소통 태도평가를 통해 내면적인 특징을 포함

=구어평가의 경우 언어적, 인지적 부담을 가중시켜 검사

=정상적 비유창성과 비정상적 비유창성을 포함하여 계산한 다음 백분위 점수로 환산

*정상적 비유창성(ND) = ND/목쵸음절 수 X 100

*비정상적 비유창성(AD) = AD/목표음절 수 X 100 X 1.5

*백분위 점수에 따른 중증도 말더듬 약함, 말더듬 중간, 말더듬 심함

 

-아동과 성인을 위한 말더듬 중증도 검사-4(SSI-4)

=아동에서 싱인까지 모두 사용 가능

 

-SSI-3에서 4판 제작 : 말더듬 중증도를 더 체계적으로 평가(수집절차를 다양하게 진행)

=비유창성 빈도, 말더듬 %는 과제 점수로 변환 : 범위 2~18

=말더듬이 가장 긴(아무 소리 나지 않는 연장, 막힘) 3개를 (추가) 척도 변환 : 범위 2~18

=신체적 부수행동 : 각각의 부수행동을 5점 척도로 평정하고 합산

*전체점수(a+b+c)에 따른 중증도 매우 약함, 약함, 중간, 심각함, 매우 심각함

=체점이 쉬워 많이 사용

 

-말더듬 인터뷰 양식 A(취학 전, 초등학생용)/B(초등학생 상급 이상 및 성인용)

=자동적인 구어, 따라 하기, 읽기, 그림, 이름말하기, 혼자 말하기, 독백, 질문하기, 대화하기, 전화하기, 자연적인 장면 말하기, 10가지 구어 과제

=말더듬 빈도(말더듬 비율, SW/M) : 전체 인터뷰 시간 중 말을 더듬은 단어를 체크하여 신뢰도 측정

SW/M = 말한 시간 : 말을 더듬은 단어 수 = 60:X

(SI 말더듬 정의 : 단어 앞에 동시 혹은 1개 이상의 핵심행동이 나타남)

=읽기, 독백, 대화 시 분당 읽은 단어 혹은 말한 단어(WR/M, WS/M) : 말한 단어마다 단어 전체 반복, 구 반복, 바꾸어 말하기를 체크함, , 삽입은 고려 안함

 

=말더듬 형태 : 단어전체반복(WW), 단어부분반복(PW), 연장(P), 투쟁(S)으로 체크하여 가장 많은 획수로 나타난 말더듬 형태로 결정함

*심한 정도 환산표 : 정상, 경도, 중도, 고도 0~7 범위 사용

 

-한국 아동용 말더듬검사(KOCS) 4~12

=말더듬의 심한 정도 측정, 일상생활에서의 말더듬 특정 파악

=핵심과제(말더듬 평가, 관찰평가)와 부가적 평가로 구성

1.말더듬 평가 : 단어수준, 문장수준, 대화수준, 이야기수준

*과제 : 그림 빨리 명명하기, 문장 바꾸어 말하기, 구조화된 대화하기, 이야기 말하기

2.관찰평가 : 핵심행동관찰, 부수행동관찰

*과제 : 설문지(4점 척도)진행

3. 부가적 평가(전통적 평가) : 말더듬빈도, 구어속도, 최대 단위반복수, 구어 자연성, 부수행동, 기타기록

*부가적 평가에서는 아동의 기준을 파악할 수는 없음

=분석 방법 : 발화를 전사하지 않아도 채점과 분석 가능, 아동이 반응한 첫 세 어절에서 반복과 연장, 막힘의 빈도를 측정

*반복(병리적 반복), 연장, 막힘 각각 1, 핵심행동이 중복으로 나타난 경우 중복 채점

=결과 : 말더듬 선별/진단 가능, 백분위수를 통한 중증도(정상, 경계선, 경도, 중도, 심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