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신경언어 파트4 - 실어증

짱또리더 2022. 10. 21. 02:47
728x90
반응형

2. 실어증

1. 실어증 : 정상적으로 언어를 습득한 이후, 후천적 뇌 또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를 말함.

-구어의 상징 기호와 관련된 조작인 연관, 저장, 인출, 그리고 규칙의 실행 등에 있어 복합적으로 효율성의 저하를 보임.

-손상된 위치와 정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실어증 환자의 언어영역의 문제는 특정 언어 하위영역에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음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이나 마비말장애 등과 같은 말운동장애의 증상들은 실어증 정의에서 제외

 

2. 손상 영역에 따른 실어증

2-1. 언어중추의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전반실어증, 베르니케실어증, 브로카실어증

-우세반구의 언어중심영역에 손상

-중대뇌동맥의 앞쪽가지가 막히면 브로카실어증, 뒤쪽 가지가 막히면 베르니케실어증, 중대뇌동맥 줄기가 막히면 전반실어증이 나타난다고 함

 

2-2. 연합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연결피질운동실어증, 연결피질감각실어증, 전도실어증

-브로카, 베르니케영역 사이의 연합섬유로 또는 두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을 연결하는 경로의 손상으로 발생

-전도실어증의 경우는 브로카영역과 베르니케영역을 연결하는 통로에 손상

-연결피질실어증들은 외측대뇌열 주변 영역과 뇌의 다른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에 손상

 

2. 평가

1. 선별평가

1-1. 실어증-신경언어장애 선별검사(STAND)

-빠른 시간 내에 실어증의 유무 및 유형을 분류할 수 있음

-그림설명하기, 청각적 이해력,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수행점수의 총점으로 구어언어지수(OLI)를 산출하고 구어언어지수(OLI)에 읽기, 쓰기 수행 점수를 더하여 전반적 언어지수(GLI)를 산출

-OLIGLI의 준거점수를 기준으로 실어증의 유무를 판단

-말영역 평가 항목이 포함되어 말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이 언어장애로 오진될 수 있는 상황을 선별할 수 있음.

 

1-2. 한국판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K-FAST)

-프렌차이 실어증 선별검사를 한국판으로 수정하여 표준화한 검사

-준거점수를 기준으로 실어증의 유무를 판단

 

2. 표준화 검사

2-1. 웨스턴실어증검사 개정판(WAB-R)

-분류학적 절차에 근거하여 전통적 실어증 분휴(8유형)가 가능 : 전실어증, 혼합연결피질실어증, 브로카실어증, 연결피질운동실어증, 베르니케실어증, 연결피질감각실어증, 전도실어증, 명칭실어증

-WAB검사를 통해 실어증지수(AQ), 언어지수(LQ), 피질지수(CQ)를 산출

실어증지수(AQ) : 스스로말하기, 청각적이해력(알아듣기),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언어지수(LQ) : 실어증 지수 항목, 읽기, 쓰기

피질지수(CQ) : 언어 지수 항목, 동작, 구성, -공간, 계산

 

2-2. 미네소타 실어증 감별진단검사(MTDDA)

-일곱 범주의 실어증으로 분류함

단순한 실어증, 시각결함을 동반한 실어증, 감각운동 결함을 동반한 실어증, 광범위한 뇌손상을 동반한 실어증, 회복이 어려운 실어증, 소수 실어증A(부분적인 청지각 결함을 동반한 실어증), 소수 시어증B(지속적인 마비말장애를 동반한 실어증)

-다섯가지 하위 검사

청각, 시각 및 읽기, 구어 및 언어, 시각운동 및 쓰기, 수관계 및 산술처리

 

2-3. PORCH 의사소통능력 지표(PICA)

-3개 영역에 걸쳐 18개의 하위검사

-16개의 범주의 점수체계에 대한 점수화

반은없음(1), 주의기울림(2), 최소반응(3), 불명료한 반응(4), 명료한 반응(5), 오류반응(6), 관련반응(7), 단서동반(8), 반복동반(9), 반응수정(10), 지연을 동반한 불완전한 반응(11), 불완전한 반응(12), 지연을 동반한 완전한 반응(13), 왜곡을 동반한 완전한 반응(14), 완전한 반응(15), 복잡한 반응(16)

 

2-4. 보스턴 실어증 진단검사(BDAE-3)

-5개 영역에 걸쳐 27개의 하위검사 포함

-언어뿐 아니라 언어 처리과정을 평가하는 포괄적 검사

-실어증 유무와 유형을 파악함

-뇌병변 위치와 결함이 있는 언어처리 과정, 환자의 책략 등을 추론 가능

 

3. 심화검사

3-1.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BNT)

-이름대기 수행력에 대한 심화검사, 60개의 흑백 선화를 보고 이름을 말하는 검사

3-2. 토큰검사(RTT)

-청각적 이해력에 대한 심화검사, 5개의 하위검사를 포함

 

3. 실어증 유형 및 특징

1. 이분법적 실어증 유형

-병소부위 : 전반구성과 후반구성

-신경경로 : 감각성과 운동성

-언어측면 : 수용성과 표현성

-유창성 정도 : 유창성과 비유창성

 

2. 보스턴 학파의 8가지 유형

2-1. 전반실어증

-중대뇌동맥의 줄기가 막힘으로써 혈액공급이 막혀 광범위하게 손상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보고됨.

-거의 대부분의 언어 기능에서 어려움을 보임(단어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음)

-무의미한 음절, 자동발화만 하는 경우도 있음

 

2-2. 혼합연결피질실어증

-고립실어증 또는 언어영역의 고립, 고립증후군이라고도 불림

-비유창하며 이해도 못하고, 사물이름대기도 못하지만 검사자의 말을 따라함, , 따라말하기 능력만 유리됨. 반향어 증상을 보이기도 함.

 

2-3. 브로카실어증

-대표적인 비유창성 실어증으로 브로카영역의 손상에 의해 발생

-표현실어증, 운동실어증, 앞쪽 실어증이라고도 불림.

-비유창하며 따라말하기, 이름대기에도 어려움을 보이나 이해력은 좋은편(이해력이 다른 능력에 비해 좋을 뿐, 복잡한 구조를 가진 문장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관찰되기도 함)

-표현 : 발화가 짧음, 전보식 구어, 실문법증 등

 

2-4. 연결피질운동실어증

-브로카실어증과 비슷하지만 따라말하기 능력이 브로카유형보다 좋음.

 

2-5. 베르니케실어증

-대표적인 유창성실어증으로 언어 우세반구의 측두엽, 베르니케영역의 손상에 의해 발생.

-감각실어증, 수용성실어증, 뒤쪽실어증이라고도 불림.

-말은 유창하나 이해력과 따라말하기, 이름대기 모두에서 어려움을 보임.

-표현 : 빈 구어, 착어, 신조어, 탈문법증

 

2-6. 연결피질감각실어증

-베르니케실어증과 비슷하지만 따라 말하기 능력이 베르니케유형보다 좋음

 

2-7. 전도실어증

-구어표현 및 이해능력에 비해 구나 문장의 따라말하기능력이 떨어짐.

 

2-8. 명칭실어증

-가자 경미한 유형의 실어증

-단어의 인출이 다른 능력에 비해 떨어짐

-모든 실어증 유형은 이름대기에 어려움을 보이며 실어증이 호전되어도 이름대기의 어려움 문제가 끝까지 남음.

*언어적 유형(유창성, 이해력, 따라말하기, 이름대기)에 따라 실어증 유형이 나뉘었지만 각각의 유형 안에서도 심도에 따라 경한 브로카실어증, 심한 브로카실어증 등으로 나뉨

 

비유창성 : 전반실어증, 혼합연결피질실어증, 브로카실어증, 연결피질운동실어증

비유창성, 청각적이해력, 따라말하기 안되는 전반실어증

비유창성, 청각적이해력은 안되나 따라말하기는 좋음 혼합연결피질실어증

비유창성, 따라말하기는 안되나 청각적 이해력은 좋음 브로카실어증

비유창성, 청각적이해력, 따라말하기 좋음 연결피질운동실어증

 

유창성 : 베르니케실어증, 연결피질감각실어증, 전도실어증, 명칭실어증

유창성은 있으나 청각적이해력, 따라말하기 안좋음 베르니케실어증

유창성, 따라말하기는 좋으나 청각적이해력은 안좋은 연결피질감각실어증

유창성, 청각적이해력은 좋으나 따라말하기가 안좋은 전도실어증

유창성, 청각적이해력, 따라말하기가 좋은 명칭실어증

 

3. 유형분류의 문제점

-분류된 실어증 환자들이 유형별 특징을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

-분류가 되지 않거나 예외적인 환자들이 있음

-실어증 유형과 병소에 차이를 보일 수 있음.

 

4. 실어증 치료

1. 시각 동작 치료법(VAT)

-인지적 처리 모델 중 하나로, 치료 시 구어를 절대 사용하지 않으며 언어자극 대신 동작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2. 멜로디 억양 치료법(MIT)

-비우세반구 중재 모델 중 하나로, 비우세반구에서 통제하는 비언어적 기능(음도)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멜로디를 단어에 접목하여 노래하듯이 발화를 유도한다.

 

3. 통제유발치료(CIT)

-신경가소성의 원리에 기반한 실어증 중재방법으로, 다양한 의사소통전략(제스처, 쓰기, 구어 등) 들 중 구어, 말산출에 집중할 수 있도옥 구조적으로 제한을 둔 중재프로토콜이다. ,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이 의사소통을 하는 동안 제스처나 쓰기 사용을 통제함으로써 구어로 산출하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하는 치료법이다.

 

4. 의미자질 분석(SFA)

-언어학적 치료 모델 중 어휘 및 의미적 측면 치료로, 명칭실어증과 같은 이름대기에 어려움을 ㅂ이는 실어증 유형에게 적합핟. 비전형적인 어휘로 훈련을 할 경우 전형적인 어휘로 일반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한다.

 

5. HELPSS

-언어학적 치료 모델 중 통사적 측면 치료로, 언어발달 문법 구조 습득이론을 기초로 하여 11개의 난이도별 문장 유형에 따라 치료한다.

 

6. 실어증 문장 산출 프로그램(SPPA)

-언어학적 치료 모델 중 통사적 측면 치료로, 다양한 문형의 문장을 산출시키는 훈련이다. 복잡성 가설에 따라 복잡한 문장을 훈련하며 덜 복잡한 문장으로의 일반화를 목표로 하기도 한다.

 

7. 실어증 의사소통 효과 증진법(PACE)

-기능적 의사소통 모델 중 하나로,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치료한다. 환자의 치료사는 동등하게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참여한다.

 

8. 베르니케실어증 치료법(TWA)

-청각적 이해력 증진을 위한 치료법 중 하나로, 청각적 이핽에 어려움을 보이는 실어증 유형에 적합하다. 단어(글자카드)와 그림 짝짓기, 단어를 큰 소리로 읽기, 그림보고 이름대기, 듣고 고르기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훈련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