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비말장애 2

신경언어 파트6 - 마비말장애

2. 마비말장애 치료 마비말장애 치료의 목표는 발성, 공명, 조음 등을 변화시키는 직접치료와 근육, 호흡, 감각 등을 조절하여 치료하는 간접치료가 있다. 1. 치료 원리 -치료는 반드시 매일 지속적으로 실시, 복합적인 감각단어를 사용, 치료에 운율적인 요소를 항상 포함시켜야함. 정확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 치료 프로그램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체계적이어야 함. 말소리, 낱말 수준에서 반복 훈련이 잘 이루어졌다면 점진적으로 과제에 변화를 주어 이를 유지하고 일반화시킴. 훈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 증진되면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킴. 치료 시 말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몸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 치료의 목표는 자연스러우며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두어야 함. 필요한 경우에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언어재활 공부 2022.10.25

신경언어 파트5 - 마비말장애

마비말장애 마비말장애 정의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말산출을 위한 근육의 통제가 어려워짐으로써 발생하는 말장애를 통칭. -근육의 마비, 약화, 불협응으로 인하여 말산출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프로그래밍의 문제인 말싱행증과 차이가 있음. 2. 평가 1. 마비말장애 환자에 대한 평가목적 -비정상적인 말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말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비정상적인 말의 중증도를 판별하기 위해 -치료 방향을 찾아보기 위해 -치료의 개입이 적정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2. 마비말장애 평가구성 2-1. 호흡 -호흡 시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지, 소리가 나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규칙적인지 확인한다. 2-2. 발성 -발성 시에는 전반적인 음도, 음질, 강도 등을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최대발성시간(MPT)을..

언어재활 공부 2022.10.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