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킴장애 2

신경언어 파트 14 - 삼킴장애

-삼킴치료에 앞서 평가 시 Trial Therapy를 실시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Trial Therapy에는 자세변경, 감각압력의 강화, 그리고 식사방법의 변경과 같은 보상책략이 우선적으로 시도됨. 이러한 재활치료에는 직접치료와 간접치료의 형식이 있음. 1. 보상기법 -음식물이 구강과 인두 등을 이동하는 방법을 달리하는 것으로 환자의 자세, 음식의 점도, 음식의 양을 변경함. 진단과정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는 기법 1-1. 자세변화(인두의 면적을 변화시키거나 음식이 내려가는 방향을 변화시킴) -앉은 자세 : 의자나 침대에 90도로 앉는 것이 좋음(한자 등 뒤에 베개를 받치거나 수건을 댐) -누운 자세 : 바로 누운 자세는 양측 인두벽 수축력이 저하된 환자나 후두 상승이 약화된 환자에게 유용, 바로 누운 ..

언어재활 공부 2022.11.05

신경언어 파트 13 - 삼킴장애

삼킴장애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옮기는 일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 -삼킴단계 : 구강준비단계, 구강단계/구강운반단계, 인두단계, 식도단계 -삼킴장애는 뇌혈관 질환과 같은 급성기에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과 함께 나타나 악화되기도 함. *삼킴단계별 삼킴문제 -구강준비단계 : 입술 폐쇄의 어려움, 혀 모양 형성 및 운동의 어려움,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구강(운반)단계 : 삼킴실행증, 혀 내밀기,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혀 운동범위 및 강도 저하 -인두단계 : 연인두 폐쇄의 저하, (전체 후두절제 환자)유사후두덮개, 경추 뼈돌기, 인두벽의 약화 및 수축 저하, 혀 기저부의 운동 저하, 후두상승 저하, 기도 입구/후두폐쇄 저하 -식도단계 : 기관식..

언어재활 공부 2022.11.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