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킴장애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옮기는 일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
-삼킴단계 : 구강준비단계, 구강단계/구강운반단계, 인두단계, 식도단계
-삼킴장애는 뇌혈관 질환과 같은 급성기에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과 함께 나타나 악화되기도 함.
*삼킴단계별 삼킴문제
-구강준비단계 : 입술 폐쇄의 어려움, 혀 모양 형성 및 운동의 어려움,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구강(운반)단계 : 삼킴실행증, 혀 내밀기,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혀 운동범위 및 강도 저하
-인두단계 : 연인두 폐쇄의 저하, (전체 후두절제 환자)유사후두덮개, 경추 뼈돌기, 인두벽의 약화 및 수축 저하, 혀 기저부의 운동 저하, 후두상승 저하, 기도 입구/후두폐쇄 저하
-식도단계 : 기관식도 누공, 위식도 역류장애
<삼킴장애 용어>
-흡인 :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 진성대를 통과하여 아래까지 내려감
-침습 : 음식물이 후두 안으로 들어갔으나 진성대 아래까지는 내려가지 않음.
-잔여물 : 삼킴 후, 입안 또는 인두 등에 남아있는 음식물
-환류 : 식도-인두 또는 인두-비강으로 음식이 넘어옴
*삼킴 전 흡인 : 음식물을 삼키기도 전에 입안의 분비물 또는 소량의 음식물이 흡인된 경우
삼킴 중 흡인 : 음식물을 삼키는 도중에 흡인이 일어난 경우
삼킴 후 흡인 : 음식을 잘 삼켰지만 구강 또는 인두 등에 남아있던 잔여물 또는 분비물이 남아있다 흡인되는 경우
<삼킴장애 증상>
-음식물을 인식하지 못함, 입 안으로 음식물을 넣지 못함, 입속에서 음식물 또는 침을 조절하지 못함, 삼킴 전,중,후에 기침 동반, 인후두 부근의 분비물 증가, 갸르릉거리는 음성, 폐렴, 이유를 알 수 없는 체중 감소, 삼키기 어렵다는 환자의 호소
<삼킴해부와 평가 및 치료>
삼킴해부
-후두개곡 : 혀 아랫부분과 후두개 사이의 좌우대칭 공간
-조롱박굴 : 혀의 아랫부분에서부터 후두의 바깥 양쪽에 위치하며, 인두벽으로 둘러 싸여있는 좌우 대칭적 공간
=5 삼차신경-얼굴과 구강 감각, 저작에 중요한 근육의 운동 담당
=7 안면싱경-입술 움직임, 얼굴 근육, 혀 앞 2/3부분의 맛
=9 설인신경-혀 뒤 1/3부분의 맛, 인두 영역 감각, 미주신경과 함께 삼킴반사
=10 미주신경-삼킴반사, 발성, 후두의 움직임
=12 설하신경-혀의 운동
2. 삼킴평가
2-1. 영상검사
1. 초음파 : 혀의 기능과 구강통과시간 측정, 삼킴 동안 혀 기능에 대한 바이오 피드백으로 응용, 인두는 볼 수 없음
2. 비디오 내시경 : 위에서 본 해부구조, 코로 삽입하여 연구개 위에 위치-연인두 폐쇄 관찰가능, 인두 삼킴 전, 후 관찰가능 – 삼키는 동안은 인두가 내시경을 감싸 관찰 불가
3. 비디오투시조영(VFSS)/수정된 바륨 검사(MBS) : 가장 많이 사용, 비교적 적은 양의 방사선 사용, 흡인의 원인을 알 수 있음, 가장 적합한 식사 책략을 세우기 위해 고안, 어떤 음식이든 이용할 수 있음, 삼킴 동안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없음.
*비디오투시조영 검사
-목적 : 환자의 증상을 초래한 해부 및 생리적인 이상을 밝히는 것,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먹을 수(삼킬 수)있는 치료법을 찾아내는 것
-방법 : 아기는 우유병, 주사기/성인은 숟가락, 음식의 종류와 양
최소한 3가지 농도의 음식사용 : 적은 양에서 많은 양으로 증가
=Thin liquid 3,6,9cc
=Thick liquid 3,6,9cc
=Semi-solid 3,6,9cc
=Solid
=Solid+liquid
-주의점 : 흡인을 보이지 않으면 계속 양을 증가시킴, 흡인이 일어나면 원인을 밝히고 흡인을 제거하기 위한 치료방법을 도입, 일반적으로 Trial Therapy에는 자세변경, 감각압력의 강화, 식사방법의 변경과 같은 보상 책략이 우선적으로 시도되고, 그 다음에 삼킴기법과 같은 치료방법이 사용
액체부터 시작되는 이유
=만약 흡인이 되더라도 이물질이 기도를 막지 않기 때문
=흡인이 되었을 때, 폐렴이 적게 유발
검사시간은 10분 내외로 환자가 직접 Radiation에 노출되는 시간은 5분을 넘지 않게 함
-측정 View(측면)
=Lateral Veiw(측면) : 구강 통과시간/인두 통과시간/식도 통과시간, 흡인의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인 원인, 입술, 턱, 혀 운동의 패턴, 삼킴 후, 대략적인 잔여물의 양과 위치, 음식덩이마다 대략적으로 흡인된 양, 인두 삼킴의 유발과 관련된 흡인의 시기
=A-P View(정면) : 구강의 좌우, 위로는 굳은 입천장, 밑으로는 성대 포함, 기능의 비대칭성 관찰, 후두계곡과 조롱박굴의 음식 잔여물, /아/지속 발성, /이/빠르게 반복-성대 움직임
4. 섬광조영검사
-방사선 물질을 주고 삼키게 하여 그 양을 측정하는 핵의학 검사방법
-흡인 양과 삼킴 후 구강과 인두에 남아 있는 잔여물의 양을 측정
-식도 측면, 특히 위식도 역류에 대한 진단에 사용
=15~30분 간격으로 환자를 다시 스캔
=다시 스캔 후, 기도나 폐에서 이물질이 보인다면 흡인의 원인이 역류질환일 수 있음
5. 광섬유 내시경
-침습적 방법
-녹화가능하며 후두덮개, 기도 입구, 후두계곡, 조롱박굴 등 해부구조에 대해 위쪽에서 본 영상을 제공 – 삼키는 동안은 인두가 내시경을 감싸 관찰 불가
2-2. 비영상 검사
-삼킴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며, 삼킴과정이나 삼킨 음식에 대한 영상자료는 얻을 수 없음
1. 근전도 검사(EMG)
-삼킴 동안 특정 근육이 수축하는 시점과 상대적 수축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치료에서의 바이오 피드백 기술로도 제공
2. 성문전도 검사(EGG)
-발성할 때 성대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의 임피던스 변화에 대한 기록을 통해 성대의 움직임을 추적
-후두상승의 추적에 이용
-후두삼킴의 시작과 끝나는 점을 알려주고, 후두상승의 범위와 지속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이오 피드백 제공
3. 경부청진
-삼키는 소리 또는 호흡소리
-삼키는 소리의 경우, 작은 마이크나 청진기를 환자 목위에 부착하여 삼킬 때 들리는 소리로 판단
-경부청진의 경우, 소리의 근원, 정상과 환자의 차이, 정상적인 소리와 비정상적인 소리 간의 차이를 숙지해야 함.
-경부청진의 경우, 검사자의 능력에 따라 결과가 다를수 있으므로 숙달된 검사자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4. 검압법/인두계측(Manometry)
-고체압력감지기를 코로 집어 넣어서 인두 삼킴 동안에 빠르게 변화하는 압력을 측정
-비디오투시조영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압력변화의 원인을 파악
-상부 수축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반지인두근의 이완 조사
5. 네 손가락법 : 삼킴 시도 중 환자의 턱 밑에 손을 대고 삼킬 때 구조물들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음
-둘째손가락 : 아래턱 밑
-셋째손가락 : 설골 위
-넷째손가락 : 감상연골에 가장 튀어나온 부분
-새끼손가락 : 갑상연골 아랫부분
'언어재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창성장애 파트 1 - 유창성장애 (0) | 2022.11.06 |
---|---|
신경언어 파트 14 - 삼킴장애 (0) | 2022.11.05 |
신경언어 파트 12 - 실독증, 실서증 (2) | 2022.11.02 |
신경언어 파트 11 - 인지장애와 치매 (0) | 2022.11.01 |
신경언어 파트 10 - 인지장애와 치매 (0)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