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신경언어 파트 12 - 실독증, 실서증

짱또리더 2022. 11. 2. 03:10
728x90
반응형

+실독증

-시력의 손상이 아닌 언어적 처리과정 또는 언어외적 처리능력의 손상으로 인해 읽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

읽기평가

-어휘성 : 의미단어인지 비단어인지 여부

-규칙성 : 자소, 음소의 일치 여부

-애매성 : 단어가 갖는 의미가 한 개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

-구체성 : 구체적 사물인지 추상적인 개념인지의 여부

-친숙성 : 대상자가 많이 접한 정도의 여부

-길이 : 제시 단어의 음절 수 여부

<실독증이 유형 및 특징>

중추형 : 상위 단계의 읽기 문제로 언어적 문제와 시각적 문제가 복합됨

-심층 실독증 : 어휘경로와 음운경로 모두가 손상되었으나 손상된 어휘경로를 통하여 읽음

:이에 비단어 읽기가 어려우며 의미단어에서는 의미오류가 발생 신발-구두

-음운 실독증 : 음운경로의 손상으로 인하여 어휘경로에 의존하여 읽음 이에 비단어 읽기에 어려움을 보임.

-어휘(표층)실독증 : 철자가 인식되었으나 어휘경로의 결함으로 인하여 음운경로에 의존하여 읽음 이에 불규칙(자소음소불일치)단어 읽기에 어려움을 보임.

2. 말초형 : 시각적 처리능력의 손상으로 문제를 보임.

-손수(실서증 없는) 실독증

:시력에는 문제가 없으나 시각적 자극처리에 어려움을 보여 전혀 읽지 못하거나 일부 조금씩 읽기도 함

-무시 실독증 : 무시증후군으로 인하여 병소의 대측 시야를 무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왼쪽을 무시하는 사람은 오른쪽 부분의 글씨만을 읽음

-주의력 실독증 : 시각적 주의력 결손으로 인하여 단단어를 읽을 때는 어려움이 없으나 주의력을 요하는 긴 문장수준에서 읽기에 어려움을 보임.

 

+실서증

-다양한 병리로 인하여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쓰기장애를 의미함.

<실서증 유형과 특징>

중추형 : 단어를 쓰기 위해 여러 인지정보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결함이 있는 경우

-심층 실서증 : 음운 경로와 어휘 경로 모두가 손상되었으나 손상된 어휘경로를 통하여 쓰기 수행 이에 비단어 쓰기가 어려우며 의미단어에서는 의미오류가 발생

-음운 실서증 : 음운경로의 손상으로 인하여 어휘경로에 의존하여 쓰기 수행 이에 어휘집에 있는 단어의 경우 쓰기 문제를 보이지 않으나 어휘집에 없는 생소한 단어 또는 비단어의 경우 쓰기에 어려움을 보임.

-어휘(표층) 실서증 : 어휘경로의 결함으로 인하여 음운경로에 의존하여 쓰기 수행 이에 비단어 쓰기에는 문제가 없으나 불규칙(자소음소불일치)단어 쓰기 시 음운적 적절 오류가 발생

할아버지-하라버지, 신라-실라

-의미 실서증 : 의미 체계의 결함으로 동음이자 받아쓰기 시 나타남

-자소-완충기 장애 : 작업기억의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 임시 저장되는 단계에서 단어의 표상이 사라져 쓰기에 오류를 보임 치환, 생략, 대치 등의 오류를 보이며 단어의 길이가 길수록 문제는 더 빈번하게 관찰됨.

-보속 실서증 : 같은 단어를 되풀이해서 쓰는 현상

2. 말초형 : 철자 표상을 손의 움직임 등을 조절하여 물리적으로 산출하는 단계에 결함이 있는 경우

-이서장애 : 글자의 외형에 대한 표상의 손상으로 인하여 쓰기에 오류를 보임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어서 쓰는 오류 등을 보임.

-실행 실서증 : 글자를 쓸 때 필요한 팔, 손의 움직임에 대한 표상이 손상되어 쓰기에 오류를 보임 부적절하게 획을 긋거나 같은 곳에 획을 여러 번 긋는 등의 오류를 보임

-실행증이 아닌 운동장애 : 글자를 쓸 때 필요한 움직임에 대한 표상은 있으나 힘, 속도, 강도 등 운동학적인 부분의 통제에 어려움으로 인해 쓰기에 오류를 보임 소자증, 대자증, 부적절한 움직임 등이 나타남

-무시(구심) 실서증 : 쓰기 시 감각적인 피드백이 저하되거나 운동감각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용지에서 글자의 위치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글자와 글자 사이 공간, 줄의 방향 등에 문제가 관찰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