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말더듬에 대한 감정 및 태도검사 -행동 통제소(LCB) =말을 더듬는 청소년/성인 대상으로 자신의 행동결과를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각 평가 =리커트 척도로 검사(6점 척도) 1. 외재성 : 점수가 높다는 것은 자신이 아닌 다른 힘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스스로 통제 어려움 2. 내재성 : 점수가 낮다는 것은 자신이 그 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봄. 내적 통제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연령, 성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도가 높음 =결과 수치가 낮을수록 내재성이 높다고 봄 -주관적 말더듬 중증도 선별검사(SSS) =말을 더듬는 청소년/성인 대상으로 말더듬에 대한 지각 빈도, 지속시간 및 말더듬과 관련된 부수행동에 대한 평가 =말더듬을 회피하는 경험을 스스로 평가 -Erickson 의사소통 태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