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유창성장애 파트 8 - 유창성장애의 평가

짱또리더 2022. 11. 15. 02:15
728x90
반응형

2. 말더듬에 대한 감정 및 태도검사

-행동 통제소(LCB)

=말을 더듬는 청소년/성인 대상으로 자신의 행동결과를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각 평가

=리커트 척도로 검사(6점 척도)

1. 외재성 : 점수가 높다는 것은 자신이 아닌 다른 힘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스스로 통제 어려움

2. 내재성 : 점수가 낮다는 것은 자신이 그 결과에 영향을 준다고 봄. 내적 통제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연령, 성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도가 높음

=결과 수치가 낮을수록 내재성이 높다고 봄

 

-주관적 말더듬 중증도 선별검사(SSS)

=말을 더듬는 청소년/성인 대상으로 말더듬에 대한 지각 빈도, 지속시간 및 말더듬과 관련된 부수행동에 대한 평가

=말더듬을 회피하는 경험을 스스로 평가

 

-Erickson 의사소통 태도평가 개정판(S-24)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함

=24개의 yes/no 질무에 대한 대답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의사소통태도는 부정적임

 

-말더듬 지각 목록표(PSI)

=청소년/성인을 대상으로 회피, 부수행동, 예상정도의 등급을 자가평가

=점수가 낮을수록 예기, 회피, 투쟁을 적게 지각하는 것임

 

-말더듬 성인을 위한 자기효능감 척도(SESAS)

=성인을 대상으로 평가

=치료 상황이 아닌 의사소통 상황의 참여빈도, 유창성 유지에 대한 자신감 측정

 

-말더듬 청소년을 위한 자기효능감 척도(THE SEA-Scale)

=청소년을 대상으로 평가

=의사소통 참여 빈도, 구어 유창성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

 

-성인/아동 행동검사(BAB)

성인 -정서적 반응(SSC-ER) :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정서적 반응체크
-비유창성(SSC-SD) :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비유창성을 스스로 체크
-행동 체크리스트(BCL) : 회피 및 탈출 행동을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구성
아동 -의사소통 태도검사(CAT) : 말더듬과 정상 아동의 감정/태도 구별 가능, yes/no로 표시
-정서적 반응(SSC-ER)
-비유창성(SSC-SD)
-행동 체크리스트(BCL)

 

-전반적 말더듬 경험평가(OASES)

=아동용 7~12, 성인용 18세 이상

=말더듬의 전반적인 영향(일반정보, 말더듬에 대한 반응, 일상 의사소통, 삶의 질)

=말더듬이 의사소통, 사회성, 효능감 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Likert 척도(1~5) : 각 영역과 전체의 점수는 합하여 응답을 한 문항의 총 개수로 나누면, 말더듬 영향력 점수가 산출되어 중증도를 결정함

 

-말더듬 자기 평정 프로파일(WASSP) : 청소년/성인의 말더듬 행동, 태도 등을 확인하는 전반적인 검사

-A-19검사

=아동들을 대상(3~8TP)으로 한 검사로 치료사가 질문하여 평가함

=말더듬 아동과 아닌 아동을 선별

-Cooper의 만성화 예측 체크리스트

=아동들을 대상으로 말더듬의 지속성을 예측하는 검사

=만성화 사례사 지표, 만성화 태도 지표, 만성화 행동 지표를 평가

=/아니오/모름을 체크하고 의 반응을 점수로 채점하는 도구

=점수가 높을수록 만성화 예측할 수 있음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태도검사(KiddyCAT) : 취학 전 아동(3~6)들을 대상으로 치료사가 질문하여 평가함

-학령 전 아동과 부모에 대한 말더듬의 영향(ISSP)

=아동의 치료유무를 판단하는 데 도움

=19개의 아동/친구/부모 관련 질문지로 구성

-학생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교사평가(TASCC)

=1~5학년 아동들 대상

=교실에서 아동의 의삿소통적 기능을 평가 : 수업참여도, 질의에 대한 접근 및 회피, 지능, 이해도, 의사소통 적절함, 실용적/비언어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측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