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음성장애 파트 6 - 음성장애 평가

짱또리더 2023. 2. 20. 19:49
728x90
반응형

<음성장애의 평가>

선별검사

Boone Voice Program for Children Voice Screening

대상 : 전 학년 학생들

평가항목 : 음도, 음질, 강도, 구강공명, 비강공명을 3점 척도로 평가함

과제 : 자발화

기준 : 5개의 매개변수 중 한 개 이상 장애로 확인되면 불합격

 

Quick Screen for Voice

대상 : 유치원 아동 ~ 고등학생

평가항목 : 호흡, 발성, 공명

과제 : 자발화, 문장모방, 그림설명, 수세기, 문단 낭독

기준 : 한 가지 이상의 항목에 장애로 확인되면 불합격

 

2. 총체적 음성평가

문진

1. 문진 시 조사해야 할 항목

-음성장애의 증상에 대해 자세히 기록(음질, 음도, 강도, 유연성, 통증 등)

-음성장애의 발병 시기

-동반장애 유무(청각장애, 언어장애, 신경장애 등)

-평상시 습관(흡연, 음주, 카페인, 음성 오,남용, 습관적 헛기침 등)

-병력(과거 수술력, 복용중인 약물, 두경부 방사선검사, 내분비/호르몬 문제)

-사회력(직업)

-가족력(음성질환 및 두경부 종양 등 가족력 유무 확인)

2. 문진 시 관찰해야 할 항목

-발성 시 태도(전반적인 자세, 턱 위치, /어깨 근육의 긴장상태, 호흡방법, 구강 개방 정도)

-청지각적 평가 및 기록(GRBAS평가, 환자 음성의 전반적인 인상을 자세히 기록)

-환자의 감성 및 심리적 상태 파악

 

청지각적 평가

검사자가 실시하는 청지각적 평가 및 환자의 주관적 평가를 고려하여 전반적으로 정확한 음성평가를 실시해야 함

1. GRBAS 척도

-4점 간격 평정법(등간척도,EAI), 0정상~3심함

-구성영역

G(Grade) : 전반적인 목쉰 소리 정도, 비정상적인 음성정도

R(Roughness) : 거친 정도, 성대진동의 불규칙성

B(Breathiness) : 기식 정도, 성문 사이로 공기가 새나가는 정도, 바람 새는 소리

A(Asthenicity) : 무력증, 약한 음성, 힘없는 음성

S(Strain) : 긴장 정도, 쥐어짜는 정도

-장단점

장점 : 검사자 간, 검사자 내 신뢰도가 높아 실직적으로 많이 사용함

단점 : 음질만을 제한적으로 평가함으로, 음도나 강도 등의 세분화된 평가항목이 없음

 

2. CAPE-V

-검사 과제 : 모음/a/, /i/연장발성, 문장 및 자발화

-주요평가 항목 : 전반적인 중증도, 거친소리, 바람새는 소리, 쥐어짜는 소리, 음도, 강도

-추가 항목 : 공명, 이중음성, Vocal Fry, 가성발성, 실성증, 불안정음도, 진전, 가래끓는 소리, 기타 관련 항목 기술하게 구성됨

-사용 척도 : 표식이 없는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 Scale;VAS)를 사용하여 100mm 연속선상에 표기함. 선의 왼쪽에 표시될수록 정상음성에 가까우며, 오른쪽에 표시될수록 비저앙 음성에 해당됨

-장단점

장점 : 평가점수가 세분화 되어 있어 음질의 작은 차이점 파악 가능, 기타 음질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 가능

단점 : 훈련되지 않은 검사자의 경우 검사자 간 신뢰도가 낮은 경향을 보임.

 

환자의 주관적 음성평가(설문지)

1. 음성장애지수(VHI)

-목적 : 환자 스스로 자신의 음성문제 정도를 측정 해 봄으로써, 음성장애 정도에 대한 자신의 지각과 일상생활 속에서 음성장애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음

-무후두환자(후두 적출 환자)를 포함한 모든 성인 음성장애 환자

-검사영역 및 항목

신체적(P, Physical) 10문항, 기능적(F, Functional) 10문항, 정서적(E, Emotion) 10문항

각 항목 당 5점 척도(0=전혀 그렇지 않다, 1=거의 그렇지 않다, 2=가끔 그렇다, 3=자주 그렇다, 4=항상 그렇다)

-평가해석 : 0~120점까지 산출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음성장애 정도가 큼

-Pediatric Voice Handiap Index;p-VHI

아동용 음성장애지수 평가로 주양육자 또는 타인이 대신 작성할 수 있음

각 항목(신체적, 기능적, 정서적) 5점 척도 + 시각적 아날로그척도(VAS)가 포함되어 있음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 SVHI

노래 시 발생하는 음성장애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임

2.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V-RQOL)

-목적 : 음성장애와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함

-평가영역 : 사회-심리 영억, 신체영역

-5점 척도(1=문제가 전혀 없다~5=문제가 심각하다)

-총점을 세부 영역의 점수에 따라 표준화 함

원점수 표준화점수
10 100Excellent : 음성장애가 삶의 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
20 75Fair to Good
30 50Poor to Fair
40 25Poor
50 0Worst Possible : 음성장애로 인해 삶의 질이 나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