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진동평가
1. 후두 스트로보스코피(=화상 회선경 검사)
-검사 원리 : 망막에 노출된 여상은 0.2초 정도 망막에 잔상이 남는다는 Talbot의 원리를 이용한 검사, 모음 발성 시 기본주파수보다 느린 속도로 스트로보의 빛을 발광하여 실제 성대진동보다 느리게 영상을 보여줌
-검사방법
올바르게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앞으로 빼고 혀를 거즈로 잡은 상태에서 실시
발성패턴
=숨을 들이마신 후 편안한 음성 높이와 크기로 /e/발성하기
=편안한 높이에서 점차 높은 음으로 음도를 상승(글리산도) 및 하강
=Glootal Attack(성문접촉) 체크 : /ee/음절을 빠르게 3~4회 반복적으로 산출하기
-측정항목
성문폐쇄 형태 : 완전폐쇄, 불완전폐쇄, 불일치폐쇄 형태 등
점막파동, 점막진동의 진폭, 점막의 무진동 부위
성문폐쇄비
발성 시 양측 성대의 개폐 시기의 대칭성
주기성/규칙성
수직 폐쇄 위치
상후두 활동 : 가성대 발성 여부, 성문 앞-뒤 수축
-단점
혀를 내밀고 검사하여 실제적인 발성을 관찰할 수 없음
2차원적 영상표현으로 병변의 깊은 정도 파악 어려움
발성이 불안정할 경우 검사가 어려움
환자가 비협조적일 경우(헛구역질을 많이 할 경우)검사가 어려움
2. 비디오카이모그래피(VKG)
-검사 원리 : 전체 성대 이미지에서 원하는 부분에 주사선(수평선)을 선택하여 선택된 한 부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직으로 기록함
-측정항목 : 성대점막 진동의 소실, 성대 진동 시 가성대 등 주변조직의 간섭, 주기 다양성, 성문폐쇄 유무, 좌우 비대칭, 외측경계모양, 점막파동의 양성, 내측 경계모양, 주기 이상, 개대기/폐쇄기 차이 등
-장단점
불규칙적인 성대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음
한 화면에 연속된 많은 수의 성대접촉 주기를 관찰할 수 있어서 스트로보스코피보다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음
‘고속모드’에서는 성대의 전체를 촬영할 수 없고 부분만 촬영 가능하여 부분만 관찰 가능하며, 주사선 선택 지점이 부적절하면 검사 효과가 없음
화상의 선명도가 낮음
3. 초고속 비디오 후두경검사(HSV)
-검사원리 : 성대 점막의 진동수보다 더 빠른 속도로 영상을 찍어 사람의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느린 속도로 영상을 보여줌
-측정항목
발화지점 및 종료시점에 대한 정보, 성대 주변 조직의 진동 여부, 간헐적 진동 단절, 성대 진동의 비대칭(그 외는 스트로보스코피와 항목이 비슷함)
-장단점
신경음성질환(음성진전, 연축성발성장애 등)의 감별진단 가능
발성방법에 따라 후두 형태 변화 측정 가능
성대진동이 불규칙해도 성대점막의 진동을 더욱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음
검사비용이 바싸며 검사지표들이 표준화되지 않음
4. 전기성문파형검사(EGG)
-검사원리 : 성대진동을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비침습적 검사로, Ohm’s의 원리(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함, 즉 성대가 외전하면 전기저항이 커기며, 내전하며 저항이 작아짐)를 이용하여 발성 시 성대 접촉 정도를 평가함
-평가목적 : 발성 시 성대의 내전 및 외전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를 그래프를 통해 관찰하여 성대기능의 정상 또는 비정상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함
-평가방법 : 갑상연골 양 측면 위치에 전극을 부착한 뒤 마이크로폰 앞에 위치. 편안한 발성으로 모음을 약 5초간 연장발성 한 뒤, 그 중 가운데 3초 정도를 분석함
-성문파형 분석
EGG파형은 성문폐쇄 진행단계, 성문폐쇄단계, 성문개대 진행단계, 성문개대단계로 나눌 수 있음.
=성문폐쇄 진행단계(1~3), 성문폐쇄단계(3~4), 성문개대 진행단계(4~6), 성문개대단계(6~1)
=성문하연폐쇄(1~2), 성문상연폐쇄(2~3), 성대접촉최대점(3~4), 성문하연개대(4~5), 성문상연개대(5~6), 성대접촉최소점(6), 성대완전개대(6~1)
-측정 매개변수
=성문접촉비율(CQ) : 성대가 접촉하는 시간을 비율로 나타낸 것(CQ=폐쇄기/주기)으로 정상수치는 약 0.40~0.50
=접촉지수(CI) : 성대가 어떠한 성구에서 진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폐쇄대개방비(C/O Ratio) : 주기에서 폐쇄기와 개방기의 상대적 길이에 대해 비교한 수치로 음성의 과대, 과소 기능정도를 평가할 수 있음
=성대개방비율(OQ), 성문접촉속도율(SQ), 성문접촉률변동률(CQP), 성문접촉지수변동률(CIP) 등의 매개변수들이 있음
-장단점
대화상황에서 성대진동 양상에 관한 정보 수집 가능
발성패턴(정상, 기식, 긴장 등)에 따른 성대 내전 정도를 알 수 있음
성대결절, 마비 등의 음성질환의 진단, 치료, 예후 판정 등에 사용됨
후두상슴 및 피부하 지방도가 높은 경우 파형 왜곡 및 정확한 검사 어려움
'언어재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장애 파트 9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3.26 |
---|---|
음성장애 파트 8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3.03 |
음성장애 파트 6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2.20 |
음성장애 파트 5 - 음성장애의 분류 (0) | 2023.02.19 |
음성장애 파트 4 - 음성장애의 분류 (1)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