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공기역학적 분석
음성산출에 사용되는 공기량과 기류량 등을 측정하기 위함
-공기역학적 평가기기
PAS
=평가하기 전 기류헤드 영점 조정을 해야함
=측정 가능 파라미더 : 폐활량, 푀장발성지속시간(MPT), 발성 시 평균호기류율(MAFR), 성문하압(SP), 발성지수(PQ), 음성효율(Voice Efficiency) 등을 측정
Aerophone II
=기류, 음압, 기압 측정 가능
=매개변수
MFR : 발성 시 1초 동안 성문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ml)
MPT : 최대발성지속시간
SP : 성문하압
A-T/min
=시각적으로 호흡양상 관찰 : 횡격막호흡, 흉식호흡, 쇄골호흡
-공기역학적 평가의 주요 파라미터
최장발성지속시간(MPT)
=공기역학적 관점에서 발성 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초시계를 이용하거나 PAS 또는 AerophoneⅡ를 사용하여 검사할 수 있음. 검사방법은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최대한 길게 ‘아’를 연장 발성하게 하여 환자의 호흡조절, 발성지속능력, 발성양상을 평가함
=MPT 정상값 : 남성 약 22초, 여성 약 19초
=MPT가 짧은 경우 : 마비말장애, 폐활량 감소, 성문폐쇄장애(성대구증, 성대마비, 폴립 등)
평균호기류율(MAFR)
=발성 동안 일정 시간 내에 성문 밖으로 나오는 공기의 양을 의미하며, 발성 중 사용된 촐 공기의 양을 발성시간으로 나눈 값임
=MAFR 정상값 : PAS 기준(남성 160ml/sec, 여성 140ml/sec), Aerophone 기준(남성 167ml/sec, 여성 129ml/sec)
=MAFR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 성문폐쇄부전(성대마비, 후두암, 용종, 구증 등)
=MAFR이 비정상적으로 낮을 경우 : 성문저항이 증가하는 경우(연축성 발성장애, Vocal Fry)
성문하압
=성문하부에 작용하는 폐압력으로 Aerophone 검사 시 ‘이-피-피’, PAS 검사 시 ‘파-파-파’과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성문하압을 측정할 수 있음
=성문하압 정상값 : PAS(남성 7.13cmH2O, 여성 5.88cmH2O), Aerophone(남성 4.1cmH2O, 여성 3.5cmH2O)
=성문하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 성문암이 진행되었을 경우
=성문하압이 비정상적으로 낮을 경우 : 기관지 협착, 심인성 실어증 등
발성지수(PQ)
=발성지수 =폐활량/최대발성지속시간
=Q의 정상값 : 남성 145ml/sec, 여성 170ml/sec
=Q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 성대결절, 후두암이 진행되었을 경우 등
7. 발성-호흡기계 호율성
최대발성지속시간(MPT)
=/a/모음 연장발성으로 검사
=최대흡기 후 편한 음도 및 강도로 최대한 길게 연장하여 발성하기
=성인평균 20~25sec
s/z Ratio4
=후두의 기류에 대해 간접으로 산출한 지표로 /s/와 /z/를 최대한 길게 연장발성한 값을 비율로 계산한 수치
=정상인 s/z Ratio = 1.0 미만
8. 음성 사용량
-음성장애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발성을 사용할 수 있게 돕는 음성분석 장치로, 일상생활 시 휴대용으로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음
-기계 : Ambulatory Phonation Monitor(APM)
치료사가 환자에게 맞는 적절한 매개변수를 기계에 설정, 환자가 일상생활 시 설정한 매개변수의 값을 초과할 때 환자에게 진동으로 생체피드백 제공
'언어재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장애 파트 10 - 음성치료 (0) | 2023.04.09 |
---|---|
음성장애 파트 8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3.03 |
음성장애 파트 7 - 음성장애 평가 (1) | 2023.03.01 |
음성장애 파트 6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2.20 |
음성장애 파트 5 - 음성장애의 분류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