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치료
행동적 음성치료(Boone의 25가지 음성촉진접근법)
음성촉진법이 영향을 주는 음성 매개변수
청각적 피드백
-대상 : 모든 음성장애군
-방법 : 박자기를 통한 속도조절, 루프 재생(자신 또는 임상가의 음성을 녹음하여 다시 듣기), 실시간 음성 증폭
3. 강도변경
-대상 : 일차적으로 음성강도가 문제인 환자 또는 어떤 병변에 대한 이차적 증상으로 음성강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비정상적으로 큰 목소리, 작은 목소리)
-주의사항 : 음성중애 전 환자의 병력(청력손실, 신체적인 문제, 성격, 심리적 문제 등)파악
-방법
강도증가시키기 : 루프 재생 및 환자의 음성에 대한 토론, 적절한 음도 찾아 강도 조절, 롬바르드효과, 호흡훈련 등
강도감소시키기 : 어린 아동일 경우 ‘Boone Voice Program for Chil-dren’의 다섯 개의 음성 강도 인식시키기
1.속삭이기, 2.잠자는 사람을 깨우지 않는 조용한 음성, 3. 가족 또는 친구에게 말할 때 사용하는 정상음성, 4.건너편 방에 있는 사람과 말하는 음성 5.바깥에 있는 사람을 부르는 소리 지르기 음성 사용. 루프재생 및 상담 통해 환자의 목소리 문제 인식
4. 노래조로 말하기
-대상 : 음성 피로, 강한 성대접촉, 음성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환자
-방법 : 강세 없이 운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특정한 음에서 노래하듯 발화과제(단어, 구문, 문장 등)를 산출하는 것, 이때 부드러운 성대접촉으로 발성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며, 이 방법은 치료 시 일시적으로 사용함
5. 저작하기
-대상 : 발화 시 입을 작게 벌리거나 이를 물고 발화하는 습관이 있으며 성대 과기능이 있는 환자
-방법 : 저작하며 수 세기, 발화과제(단어, 구문, 문장)를 연습함, 이 방법은 일시적으로 사용한 뒤 점차 정상적인 구강 움직임으로 바꿔감
-효과 : 전반적인 발성 및 조음기관의 이완, 부드러운 성대접촉을 유도해 음질 향상
6. 비밀스러운 음성
-대상 : 성대 과기능 환자
-방법 : ‘속삭이는 음성;-’이 아닌, ‘작게 말하기’ 또는 ‘조용하게 말하기’의 강도로 발화과제를 연습하며, 이는 치료 시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사용함
-효과 : 음성남용, 성대 과기능 습관을 감소 및 제거
7. 상담(문제설명)
-대상 : 모든 음성장애군
-방법 : 대상자의 발성 문제, 원인, 치료법 및 치료가 필요한 이유 등을 상담
8. 손가락 조작법
-대상 : 다양한 음성장애군(변성발성장애, 편측성대마비, 발성 시 후두가 상하로 지나치게 움직이는 환자)
-방법 : 손가락 조작법을 통한 음도 하강(단모음 연장발성 시 손가락으로 갑상연골 살짝 누르기), 손가락 조작법을 통한 편측성성대마비 환자의 음질개선(마비가 있는 쪽 갑상연골을 살짝 누르고 발성하였을 때 효과가 없을 경우 마비가 없는 쪽 갑상연골을 누르고 발성 시도), 손가락 조작법을 통해 후두의 상하 운동 느끼기
9. 남용제거
-대상 : 다양한 음성장애군
-방법 : 환자의 음성습관 중 오,남용 행동을 조사한 뒤 그래프 혹은 체크리스트 등을 과제로 제시. 평상시 오.남용 행동의 횟수를 인식시켜줌
10. 새로운 음도 확립
-대상 : 환자의 후두 구조와는 적합하지 않은, 부적절한 고음/저음을 사용하여 발화하는 경우
-방법 : 청각 피드백을 함께 활용할 수 있으며, 현재 환자가 사용하는 음도를 혹인시켜 준 뒤 목표 음도를 설정하여 함께 연습함. 발화과제(단어, 구, 문장) 동안 Visi-Pitch 또는 Praat 등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피드백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음
-효과 : 최적의 음도를 찾아 음질을 개선시킴
11. 음성배치(음성초점)
-대상 : 발화 시 음성의 초점을 비정상적으로 전방화(혀의 위치가 구강 앞쪽으로 위치)하거나 후방화(혀의 위치가 구강 뒤쪽으로 위치)하여 사용하는 환자
-방법 : 안면마스크 혹은 호흡조절을 통해 잘못된 음성산출 초점을 구강의 중간부분으로 이동
12. 성대프라이
-대상 : 성대 과기능 환자
-효과 : 성대프라이는 최소한의 성문하압력과 기류로 성대가 이완된 상태에서 산출됨. 따라서 성대가 이완되며 후두가 하강함
13. 머리위치변경
-대상 : 다양한 음성장애 환자 및 신경학적 장애환자군(편측성 성대마비, 연하 시 흡인 등)
-방법 : 머리위치 변경법 + 다른 음성촉진 접근법, 머리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며 가장 좋은 음질이 산출되는 위치를 찾음
14. 계층적 분석
-대상 : 상황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음성을 사용하는 음성장애 환자들
-방법 : 음성산출이 가장 쉬운 상황부터 어려운 상황까지 리스트 작성, 가장 쉬운 상황에서 적절한 음성산출 연습 후 점차 어려운 상황으로 확장
'언어재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장애 파트 9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3.26 |
---|---|
음성장애 파트 8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3.03 |
음성장애 파트 7 - 음성장애 평가 (1) | 2023.03.01 |
음성장애 파트 6 - 음성장애 평가 (0) | 2023.02.20 |
음성장애 파트 5 - 음성장애의 분류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