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 공부

음성장애 파트 8 - 음성장애 평가

짱또리더 2023. 3. 3. 13:20
728x90
반응형

5. 음향음성학적평가

-음성분석프로그램

음성분석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 CSL, Dr.speech, Praat

CSL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 MDVP, VRP, Visi-pitch, Sona-match, Nasometer

DR.Speech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음향, 생리학적 음성평가 : Vocl Assessment, Real Analysis

=전기성문도측정 : Electroglottograph

=비성도 측정 : NasalVeiw

=발성/조음훈련 : Speech Therapy, Speech Training, Pitch Master

-음성평가 시 주의사항

흡음장치가 설치된 녹음실 등 조용한 곳에서 평가를 실시하여, 환경소음을 철저히 차단해야 함

-음성평가방법 및 해석

=MDVP

목적 : 음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빠르고 쉽게 음질을 파악할 수 있음

평가방법 : 모음//를 편안한 음도와 강도로 약 4~5초 동안 연장발성함. 그 후 파형이 안정적인 중간 2~3초 정도를 구간설정 하여 분석함

해석방법 : 다이어그램에서 초록색 원은 정상범위를 의미하며, 정상성이 높을수록 초록색 원이 큼. 붉은색 비정형 부분이 원을 벗어나 있으면 정상범위를 벗어남을 의미함

 

*기본주파수 fo : 복합주기파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로 가장 낮은 배음을 뜻하며 단위는 Hz, 남성 평균 125Hz, 여성평균 225Hz

주파수변동률(Jitter) : 기본주차수의 주기가 얼마나 변동적인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한 사이클과 그 전, 후 사이클과의 주기의 가변성을 측정함. 따라서 Jitter(1.04%)값이 낮을수록 좋음

진폭변동률(Shimmer) : 강도(음의 크기)와 관련된 지표로, 음파의 진폭이 얼마나 변동적인지 측정하는 지표임. 정상값은 3.81%dlau 낮을수록 좋음

 

=음성범위프로파일(VRP)

목적 : 음의 높낮이 및 강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공해 주는 도구이며, 후두의 원음 생성능력 및 후두의 적응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함

평가방법 : 모음//를 음도 당 약 2초 이상 산출해야 함. 음도를 음악적 반음으로 올려가면서 각 주파수에서 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부터 가장 큰 소리까지 산출함. 같은 방법으로 피험자가 산출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부터 음악적 반음씩 내려가면서 최저음까지 산출함

평가항목 : VRP 형태 및 윤곽, 습관적 주파수, 전체 기본주파수 범위, 최저/최고 기본주파수, 습관적 강도, 전체 강도범위, 최저/최고 강도 범위 등

평가적용 : 기능적/기질적 음성장애 환자 및 갑상선 수술환자, 전문적 음성 사용자들의 평가 및 피료 목적으로 사용함

=정상성인의 VRP 평균

성별 평균 주파수 최저음압 최고음압
99.05~289.72Hz 67.57dB 97.46dB
164.72~605.02Hz 80.35dB 90.99dB

 

=Nasometer

목적 : 공명문제를 보이는 대상자들의(청각장애, 구개열, 말운동장애 등) 비성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함

정기적으로 헤드셋 마이크로폰을 Calibration 해줌

평가방법 : 헤드셋을 착용한 뒤 과제(비강음문장, 구강음문장, 혼합문장 등)를 읽게 함

평가항목 : 비음도(발화 동안 실시간으로 비음치의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 비음치(비강음향 에너지/(구강음향에너지+비강음향에너지)X100)

 

=켑스트럼

켑스트럼은 스펙트럼에 로그를 취하여 역 푸리에변환으로 얻은 결과이며, 다른 음성분석과는 달리 배음의 구조 정도를 보는 평가임. 따라서 음성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비주기적인 중도 또는 심도 음성장애완자의 음성을 평가할 때 다른 음향지표보다 신뢰도가 높으며, 주로 CPP값을 사용함

소프트웨어 : ADSV를 통해 환자의 음성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CPP : 음성신호의 주기성 정도 및 음성스펙트럼의 배음 성분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음성신호 주기에 해당하는 켑스트럼 정점의 두드러진 정도로 측정됨

기식화된 음성일수록 CPP값이 낮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