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뇌손상증후군
우뇌손상증후군의 의의
1. 우뇌손상증후군(RHD)은 우뇌(주로 비우세반구 또는 비언어반구)에 손상을 입은 후 지각, 인지, 언어적으로 문제가 발생함. 우뇌손상 환자의 절반 이상은 심각한 의사소통 장애를 보임.
2. 특징
1. 의사소통 장애
1-1. 운율장애
-느린 말속도와 함께 단어 사이, 쉼 간격이 같아서 로봇의 말처럼 들림, 구 도는 문장에서 강세가 줄어듦, 억양이 제한되어 질문(질문 끝을 올림)과 주장(문장의 끝을 내림) 등의 구별이 어려움.
1-2. 발화의 내용 및 구성 이상
-다시 말하기 또는 설명하기 과제에서 뚜렷한 문제를 보임. 과도하고, 장황하며, 반복적임. 비효율적인 발화를 보이며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관계없는 이야기를 표현하기도 함.
1-3. 이해장애
-담화와 대화에서 이해에 어려움이 나타남. 이야기나 대화에서의 숨은 의미, 함축적 의미 파악에 어려움을 보임. 비유 및 은유, 관용적 표현을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파악함.
1-4. 화용장애
-급작스러운 대화 개시와 종결을 보임. 눈맞춤,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등에 어려움을 보임. 사회적 관례에 어려움을 보임(대화나 이야기 도중 끼어들기)
2. 행동 및 인지적 장애
2-1. 지각장애
-무시 : 일측 공간 무시 증상이 나타나는데, 주로 좌측 무시가 나타남.
-질병인식불능증 : 본인의 질병을 부인함. 때로는 장애를 인정하지만 장애에 대한 무관심함.
-구성장애 : 복잡하거나 다면적인 그림을 따라 그리게 하였을 때 어려움을 보임.
-지형장애 : 외적 공간에 대한 위치파악에 어려움을 보임.
2-2. 주의력 장애
-우뇌손상 환자뿐 아니라 전반적 뇌손상 환자들에게서 흔히 관찰됨.
-치료에 집중하거나 치료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보임.
<우뇌손상증후군의 평가와 치료>
평가
1. 표준화 검사
1-1. RHLB-2
-은유 그림검사, 은유 읽기 검사, 유추 의미 이해검사, 유머 이해검사, 어휘 의미검사, 강조 강세산출검사, 담화 분석검사
1-2. MIRBI-2
-시각탐색, 인식보전, 무시를 포함한 신체 이미지 보전, 읽기와 쓰기, 연속 7빼기, 시계그리기, 정서적 언어, 유머, 부적합성, 비합리성, 은유적 언어이해, 유사성, 정서
1-3. RICE-R
-환자와의 면담, 환자와 가족들, 병원 직원들과의 상호작용, 주의력, 눈맞춤, 질병에 대한 인식, 지남력(시간, 사람, 장소), 대화 시 얼굴표현, 억양, 주제유지에 대한 평가, 시각 탐색과 시각 트래킹, 쓰기평가, 화용적 의사소통 기술평가를 위한 척도, 이야기 다시 말하기, 은유적 언어 검사
2. 비표준화 검사
2-1. ENH-RHS
-우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짧은 대화나 익숙한 과제일 경우에는 의사소통 문제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의사소통 문제를 지나칠 수 있음.
2. 우뇌손상 환자의 치료
1. 의사소통장애
1-1. 운율장애
-모방치료 : 치료사가 목표 감정을 실어 문장을 읽고 그 문장을 환자가 모방하도록 하는 치료법, 이때 환자가 감정까지 모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함, 회기가 지날수록 점점 모델링을 줄여주고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인지-언어치료 : 감정카드와 함께 감정의 이름, 목소리 특징 등을 알려주고 정보를 바탕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훈련함.
1-2. 화용장애
-비디오 테이프 피드백 : 환자와의 상황을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여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피드백을 제공
-의사소통촉진법(PACE) : 실어증 환자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PACE치료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언어재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언어 파트 10 - 인지장애와 치매 (0) | 2022.10.31 |
---|---|
신경언어파트 9 - 외상성 뇌손상 (0) | 2022.10.29 |
신경언어 파트7 - 말실행증 (0) | 2022.10.26 |
신경언어 파트6 - 마비말장애 (0) | 2022.10.25 |
신경언어 파트5 - 마비말장애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