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재활 공부 36

신경언어 파트6 - 마비말장애

2. 마비말장애 치료 마비말장애 치료의 목표는 발성, 공명, 조음 등을 변화시키는 직접치료와 근육, 호흡, 감각 등을 조절하여 치료하는 간접치료가 있다. 1. 치료 원리 -치료는 반드시 매일 지속적으로 실시, 복합적인 감각단어를 사용, 치료에 운율적인 요소를 항상 포함시켜야함. 정확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 치료 프로그램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체계적이어야 함. 말소리, 낱말 수준에서 반복 훈련이 잘 이루어졌다면 점진적으로 과제에 변화를 주어 이를 유지하고 일반화시킴. 훈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반응의 정확성이 증진되면 점진적으로 속도를 증가시킴. 치료 시 말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몸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 치료의 목표는 자연스러우며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두어야 함. 필요한 경우에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언어재활 공부 2022.10.25

신경언어 파트5 - 마비말장애

마비말장애 마비말장애 정의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말산출을 위한 근육의 통제가 어려워짐으로써 발생하는 말장애를 통칭. -근육의 마비, 약화, 불협응으로 인하여 말산출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프로그래밍의 문제인 말싱행증과 차이가 있음. 2. 평가 1. 마비말장애 환자에 대한 평가목적 -비정상적인 말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말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비정상적인 말의 중증도를 판별하기 위해 -치료 방향을 찾아보기 위해 -치료의 개입이 적정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2. 마비말장애 평가구성 2-1. 호흡 -호흡 시 과도한 힘이 들어가는지, 소리가 나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규칙적인지 확인한다. 2-2. 발성 -발성 시에는 전반적인 음도, 음질, 강도 등을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최대발성시간(MPT)을..

언어재활 공부 2022.10.24

신경언어 파트4 - 실어증

2. 실어증 1. 실어증 : 정상적으로 언어를 습득한 이후, 후천적 뇌 또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장애를 말함. -구어의 상징 기호와 관련된 조작인 연관, 저장, 인출, 그리고 규칙의 실행 등에 있어 복합적으로 효율성의 저하를 보임. -손상된 위치와 정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실어증 환자의 언어영역의 문제는 특정 언어 하위영역에 국한되어 나타나지 않음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이나 마비말장애 등과 같은 말운동장애의 증상들은 실어증 정의에서 제외 2. 손상 영역에 따른 실어증 2-1. 언어중추의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전반실어증, 베르니케실어증, 브로카실어증 -우세반구의 언어중심영역에 손상 -중대뇌동맥의 앞쪽가지가 막히면 브로카실..

언어재활 공부 2022.10.21

신경언어 파트3 - 해부 및 생리

3. 뇌졸중 : 뇌혈관의 손상으로 생기는 뇌손상을 일컫는 말, 허혈성과 출혈성으로 구분되며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비율이 더 높다 1) 허혈성 뇌졸중(폐색성 뇌졸중) 혈관이 막혀 혈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 막힘이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는데 이를 경색. 혈관이 막히는 방법에 따라 혈전성과 색전성으로 구분 - 혈전성 뇌졸중 : 혈관 벽에 이물질들이 쌓이면서 서서히 혈관이 좁아지며 막히는 것 - 색전성 뇌졸중 : 혈색 속에 있던 이물질(덩어리)이 좁은 혈관을 막아서 발생 1-1) 일과성 허혈발작(TIA) -일시적으로 혈관이 막혀 뇌로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감각장애, 언어장애, 어지럼증, 사지위약 등의 증상이 나타남. 증상은 짧게 몇 분에서 길게는 24시간 이내에 완전하게 회복됨 ..

언어재활 공부 2022.10.20

신경언어 파트2 - 해부 및 생리

3) 소뇌 1. 대뇌의 축소판처험 보이며, 두 개의 반구를 가지고 있음 2. 움직임의 속도, 범위, 방향, 힘을 조절하는 역할 3. 소뇌 손상 시 움직임이 서툴러지고 실조증 상태를 보임 4) 뇌간(뇌줄기) 1. 뇌와 척수 사이에 위치, 둘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 2. 호흡과 심장받동 수를 조절하며 복합젓인 운동을 통합하는 역할 3. 뇌간 손상 시 생명과 관련(심장박동, 호흡 등)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 5) 뇌실 1. 뇌에는 4개의 뇌실이 있음 가쪽뇌실(측뇌실)대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좌우 2개가 대칭으로 구성, 뇌실사이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있고 제 3뇌실과도 연결됨 제3뇌실 :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가쪽뇌실과 교통하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 4뇌실과 ᅟᅧᆫ결됨. 제4뇌실 : 소뇌와 뇌간(뇌줄기)..

언어재활 공부 2022.10.18

신경언어 파트 1

01. 해부 및 생리 중추신경계 1. 세포 : 아교세포, 신경세포로 구성 아교세포 :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로를 지지, 수분 조절 신경세포 : 뉴런이라고 불리는 신경세포는 감각, 행동, 감정, 근육, 분비샘의 활동 등을 함 -뇌 구성 요소로는 대뇌, 소뇌, 간뇌(시상, 기저핵), 뇌간(중뇌+뇌교+연수) 뉴런 구조 : 수상돌기, 축삭, 미엘린 수초, 세포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1. 대뇌 1) 구성 : 3/4은 수분, 나머지 1/4은 아교세포(500~1,000억개), 뉴런(100억개), 연결섬유 등 2) 인간의 전체 몸무게 약 2%를 차지하지만 신체 전체 산소소비량의 25%를 사용(저장고가 없어 영양공급이 10초 이상 끊기면 의식을 잃고, 30초 이상 끊기면 전기활동이 멈추며, 2~3분 이상이 되면 영구적인..

언어재활 공부 2022.10.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