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재활 공부 36

유창성장애 파트 2 - 유창성장애

3. 정상적 비유창 vs 병리적 비유창 정의 유형 기호 정의 정상적인 비유창성(ND) 주저 (H) 발화 중간이나 발화 간에 나타나는 1~3초 정도의 침묵으로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간투사(I) 의미전달내용과 관계없는 낱말이나 구를 말하는 것으로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미완성 또는/그리고 수정(UR) 발화나 낱말을 끝냊지 않은 경우, 그리고/또는 이미 산출한 말의 발음, 낱말, 통사구조 등을 바꾸어 다시 말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복1(R1) 다음절 낱말이나 구, 어절 등을 1~2회 반복하되, 별다른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병리적인 비유창성(AD) 주저-비정상적(Ha) 주저함이 3초 이상 지속되거나 시각적 긴장과 같은 질적 양상이 동반되는 ..

언어재활 공부 2022.11.06

유창성장애 파트 1 - 유창성장애

유창성장애 -자연스럽지 않은 말의 흐름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 종류 1-1. 말더듬 -말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자주 끊기거나, 말속도가 불규칙하거나, 말을 할 때 불필요한 노력이 들어가는 것을 뜻함 -소리나 음절의 반복, 소리의 연장, 소리의 막힘 등으로 말의 흐름이 순조롭지 않은 현상 -말더듬이 점차 심화되면 부수행동(탈출/회피)이 나타남 1-2. 말빠름증 -말을 하는 도중에 점차 말의 속도가 빨라지고 급기야는 말이 너무 빨라서 제대로 조음되지 않아 잠시 가성이 나오다가 말이 멈추기도 하는 현상 *DSM-5 아동기 발병형 유창성장애(말더듬) -개인의 연령과 언어기술에 부적절한 말을 만드는 저상적인 유창성과 시간상의 방해가 시간이 경과해도 지속되고,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자주 뚜렷하게 발생한다...

언어재활 공부 2022.11.06

신경언어 파트 14 - 삼킴장애

-삼킴치료에 앞서 평가 시 Trial Therapy를 실시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Trial Therapy에는 자세변경, 감각압력의 강화, 그리고 식사방법의 변경과 같은 보상책략이 우선적으로 시도됨. 이러한 재활치료에는 직접치료와 간접치료의 형식이 있음. 1. 보상기법 -음식물이 구강과 인두 등을 이동하는 방법을 달리하는 것으로 환자의 자세, 음식의 점도, 음식의 양을 변경함. 진단과정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는 기법 1-1. 자세변화(인두의 면적을 변화시키거나 음식이 내려가는 방향을 변화시킴) -앉은 자세 : 의자나 침대에 90도로 앉는 것이 좋음(한자 등 뒤에 베개를 받치거나 수건을 댐) -누운 자세 : 바로 누운 자세는 양측 인두벽 수축력이 저하된 환자나 후두 상승이 약화된 환자에게 유용, 바로 누운 ..

언어재활 공부 2022.11.05

신경언어 파트 13 - 삼킴장애

삼킴장애 -음식을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옮기는 일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 -삼킴단계 : 구강준비단계, 구강단계/구강운반단계, 인두단계, 식도단계 -삼킴장애는 뇌혈관 질환과 같은 급성기에 갑자기 나타날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과 함께 나타나 악화되기도 함. *삼킴단계별 삼킴문제 -구강준비단계 : 입술 폐쇄의 어려움, 혀 모양 형성 및 운동의 어려움,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구강(운반)단계 : 삼킴실행증, 혀 내밀기, 입술 및 볼 근육 근력 저하, 혀 운동범위 및 강도 저하 -인두단계 : 연인두 폐쇄의 저하, (전체 후두절제 환자)유사후두덮개, 경추 뼈돌기, 인두벽의 약화 및 수축 저하, 혀 기저부의 운동 저하, 후두상승 저하, 기도 입구/후두폐쇄 저하 -식도단계 : 기관식..

언어재활 공부 2022.11.04

신경언어 파트 12 - 실독증, 실서증

+실독증 -시력의 손상이 아닌 언어적 처리과정 또는 언어외적 처리능력의 손상으로 인해 읽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 읽기평가 -어휘성 : 의미단어인지 비단어인지 여부 -규칙성 : 자소, 음소의 일치 여부 -애매성 : 단어가 갖는 의미가 한 개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 -구체성 : 구체적 사물인지 추상적인 개념인지의 여부 -친숙성 : 대상자가 많이 접한 정도의 여부 -길이 : 제시 단어의 음절 수 여부 중추형 : 상위 단계의 읽기 문제로 언어적 문제와 시각적 문제가 복합됨 -심층 실독증 : 어휘경로와 음운경로 모두가 손상되었으나 손상된 어휘경로를 통하여 읽음 :이에 비단어 읽기가 어려우며 의미단어에서는 의미오류가 발생 신발-구두 -음운 실독증 : 음운경로의 손상으로 인하여 어휘경로에 의존하여 읽음 – 이에 ..

언어재활 공부 2022.11.02

신경언어 파트 11 - 인지장애와 치매

3. 치매의 기타 원인 3-1. 수두증 -뇌척수액이 뇌실, 척수로부터 재흡수되는 것이 방해되면서 생기는 것 -이에 뇌책수액을 흉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션팅이라는 의학적 처지를 하는데, 대부분의 환자들은 저절로 회복하나 일부는 경도~중등도의 치매수준을 보임. 하지만 소수의 환자는 함묵증, 전반적 인지기능장애를 보이기도 함. 3-2.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빠르게 진행하는 치매이며 매우 드물지만 치명적 질환 -프리온이라는 단백질의 전염성 입자가 중추신경계에 침범하여 발생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증상은 다양하나 치매는 항상 나타남 정신상태 평가 1-1. 서울신경심리검사(SNSB) -한국에서 표준화된 신경심리학적 검사, 소검사로 K-MMSE, SVLT, PRAXIS, Calculation, Stroop Test, ..

언어재활 공부 2022.11.01

신경언어 파트 10 - 인지장애와 치매

인지장애와 치매 1. 인지장애 -정상, 주관적 기억장애, 경도인지장애, 치매로 나뉜다. 1-1. 주관적 기억장애(SMI) -확실한 기능장애가 없고 건강염려증 정도이나 정상군보다는 치매로 진전할 확률이 높음. 1-2. 경도인지장애(MCI) -사회생활이나 일상생활(ADL)은 문제없이 유지되나 기억장애가 다른 문제보다 두드러지게 저하된 경우 1-3. 치매 -인지기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문제를 일으킴. 하지만 섬망 등과 같은 각성장애가 없어야 함 *치매는 65세 이상의 노인인구에서 발생하는 노인성치매만 있는 것이 아니라 65세 이전에 발생하는 초로성치매도 있음.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지침서, DSM-IV에 따르면 치매는 다음사항을 보여야 함 -단기기억 장애, 장기기억 장애 -내용 중 최소..

언어재활 공부 2022.10.31

신경언어파트 9 -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 외상성 뇌손상(TBI) : 두개골과 뇌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서 생긴 결과 -두개골이 골절 또는 관통, 뇌수막이 찢어지는 관통 뇌손상 또는 개방형 뇌손상과 그렇지 않은 비관통 뇌손상 또는 폐쇄 뇌손상으로 구분 2. 외상성 뇌손상 분류 1. 관통(개방형) 뇌손상 -관통 뇌손상의 생존자는 거의 신체, 인지, 언어장애를 갖게 됨. 2. 비관통(폐쇄) 뇌손상 -비가속 손상(고정머리 외상) : 고정된 머리에 어떠한 움직이는 물체가 부딪혀 머리에 손상을 줌. -가속 손상(운동머리 외상) : 움직이는 머리에 어떠한 움직이는 물체가 부딪혔거나 머리가 움직이다 가만히 있는 물체에 부딪혀 발생함. *비관통(폐쇄형) 뇌손상이 관통(개방형) 뇌손상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외상성 뇌손상 결과 1. 일차적 결과 ..

언어재활 공부 2022.10.29

신경언어 파트 8 - 우뇌손상증후군

우뇌손상증후군 우뇌손상증후군의 의의 1. 우뇌손상증후군(RHD)은 우뇌(주로 비우세반구 또는 비언어반구)에 손상을 입은 후 지각, 인지, 언어적으로 문제가 발생함. 우뇌손상 환자의 절반 이상은 심각한 의사소통 장애를 보임. 2. 특징 1. 의사소통 장애 1-1. 운율장애 -느린 말속도와 함께 단어 사이, 쉼 간격이 같아서 로봇의 말처럼 들림, 구 도는 문장에서 강세가 줄어듦, 억양이 제한되어 질문(질문 끝을 올림)과 주장(문장의 끝을 내림) 등의 구별이 어려움. 1-2. 발화의 내용 및 구성 이상 -다시 말하기 또는 설명하기 과제에서 뚜렷한 문제를 보임. 과도하고, 장황하며, 반복적임. 비효율적인 발화를 보이며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관계없는 이야기를 표현하기도 함. 1-3. 이해장애 -담화와 대화에서 이해..

언어재활 공부 2022.10.27

신경언어 파트7 - 말실행증

말실행증(AOS) : 말운동을 위한 프로그래밍의 장애임, 거의 대부분 언어우세반구 중 프로그래밍에 참여하는 뇌 구조의 손상과 관련됨. 2. 평가 1. 말싱행증 평가 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비구어 구강 운동산출 능력, 말산출, 음운 복잡성 증가에 따른 단어산출, 음운 복잡성 증가에 따른 문장산출 2. 말실행증의 특징과 치료 1. 특징 1-1. 말 특징 : 조음점을 찾는 탐색적 조음행동을 보이며, 느리고 힘겹게 말을 산출한다. 또한 변동이 매우 심한 조음 오류를 보임. 1-2. 조음오류 : 대치오류가 빈번, 조음 위치오류가 가장 많음, 자음군에서의 오류가 더 많음, 구강의 후방에서 발음되는 소리에 오류가 더 많음. 1-3. 일관성 : 조음의 비일관성,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조음능력이 좋음 2. 말실행증 치..

언어재활 공부 2022.10.26
728x90